'롤드컵'에서 LPL 만나 5전제 10전 전승 거둔 T1, MSI에서는?



T1은 전 세계에서 LoL 월드 챔피언십(일명 '롤드컵')을 가장 많이 우승한 팀이다. 창단 첫 해인 2013년 롤드컵에 출전해 우승했고 2015년과 2016년 2년 연속 정상에 오르며 첫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023년과 2024년 롤드컵에서 또 한 번 연속 우승을 달성한 T1은 13번 열린 롤드컵에서 무려 5번이나 우승한 팀으로 기록됐다. 

이 과정에서 T1은 중국(LPL)팀을 상대로 엄청나게 강력한 힘을 보여줬다. 특히 5전 3선승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8강 이후부터 중국팀에게는 지지 않으면서 우승권에 근접했다. 

연도상대팀단계결과
12015에드워드 게이밍(EDG)결승2대3 패
22016로얄 네버 기브업(RNG)4강3대1 승
32022로얄 네버 기브업(RNG)결승2대3 패
42023징동 게이밍(JDG)승자 결승2대3 패
52023빌리빌리 게이밍(BLG)패자 결승1대3 패
62024빌리빌리 게이밍(BLG)승자 2R1대3 패
72024빌리빌리 게이밍(BLG)패자 결승2대3 패
82025빌리빌리 게이밍(BLG)승자 2R?

T1이 처음으로 롤드컵에서 중국팀과 5전제 승부를 벌인 것은 2023년 결승전이었다. 당시 SK텔레콤 T1이라는 이름으로 출전, 스타혼 로얄클럽과 결승에서 맞붙어 3대0 완승을 거두며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8강, 2017년 4강에서 로얄 네버 기브업과 맞붙어 연승을 거둔 T1(당시 SK텔레콤 T1)은 2022년부터 여러 중국팀들과 5전제에서 만나기 시작한다. 2022년 8강에서 로얄 네버 기브업을 만나 3대0으로 승리한 T1은 같은 해 4강에서 징동 게이밍을 3대1로 꺾었고 한국에서 열린 2023년 롤드컵에서는 8강과 4강, 결승에서 LNG 이스포츠, 징동 게이밍, 웨이보 게이밍을 연파하며 정상에 올랐다. 2024년에도 8강에서 톱 이스포츠를 꺾은 T1은 결승에서 빌리빌리 게이밍을 3대2로 제압하며 두 번째 연속 우승을 확정했다. 

연도상대팀단계결과
12013로얄 클럽(RYL)결승3대0 승
22016로얄 네버 기브업(RNG)8강3대1 승
32017로얄 네버 기브업(RNG)4강3대2 승
42022로얄 네버 기브업(RNG)8강3대0 승
52022징동 게이밍(JDG)4강3대1 승
62023리닝 게이밍(LNG)8강3대0 승
72023징동 게이밍(JDG)4강3대1 승
82023웨이보 게이밍(WBG)결승3대0 승
92024톱 이스포츠(TES)8강3대0 승
102024빌리빌리 게이밍(BLG)결승3대2 승

롤드컵에서 중국팀을 상대로 5전제 10연승이라는 대기록을 작성한 T1이지만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2015년 MSI가 처음 열렸을 때 LCK 대표로 출전한 T1은 결승에서 에드워드 게이밍을 만나 2대3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에는 4강에서 로얄 네버 기브업을 3대1로 제친 뒤 결승에서 북미 팀을 만나 MSI 첫 우승을 달성한 T1은 2017년에는 중국팀을 5전제에서 만나지 않고 또 한 번 정상에 올랐다. 

2022년 우리나라에서 열린 MSI에 대표로 출전한 T1은  결승에서 로얄 네버 기브업을 만나 2대3으로 아쉽게 패하면서 좋지 않은 기록이 쌓이기 시작한다. 2023년 MSI에 출전할 수 있는 메이저 지역 팀이 2개로 늘어나면서 2년 연속 젠지와 함께 LCK 대표로 나선 T1은 2023년 징동 게이밍을 승자 결승에서 만나 2대3으로 패했고 패자 결승에서 빌리빌리 게이밍을 만나 1대3으로 패하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24년 빌리빌리 게이밍을 승자조 2라운드에서 만나 1대3으로 패한 T1은 패자 결승에서 빌리빌리 게이밍을 또 다시 만나 2대3으로 패하면서 결승에 올라가지 못했다. 

T1은 2022년 이후 MSI에서 중국팀을 만나 5전제를 치렀을 때 5전 전패를 당했고 5전제가 우승컵을 쟁취할 수 있는 마지막 길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T1은 2017년 우승 이후 MSI에서 트로피를 들어 올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6일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퍼시픽 콜리세움에서 열리는 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브래킷 스테이지 승자조 2라운드에서 중국팀인 빌리빌리 게이밍을 만나는 T1이 최근 부진을 털어내고 승자 결승에 올라갈 수 있을지 시선이 모이는 이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CK] 농심 레드포스, KT 롤스터 상대로 두 세트 모두 역전승!

[LCK] MSI 티켓은 단 두 장! 여섯 팀의 운명을 건 마지막 2주…MSI 대표 선발전 예고